항내 수면적 | 항로 | 항로 폭 | 수심 | 현재 시설능력 | 하역능력(만톤/연) | 항만의 종류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94.990㎢ | 30㎞ | 0.6~1㎞ | 11~11m(평균 14m) | 2 | 8,915만톤 (114만 TEU) |
무역항 |
항계 |
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고온리 남단과 충천남도 당진군 송산면 성구마리 동단을 연결한 선내의 해면 (남양호, 평택호, 삽교호는 제외) |
구분 | 총계 | 평택 | 당진 |
---|---|---|---|
계 | 79선석 | 53 | 26 |
운영 중 | 61 | 40 | 2 |
잡화7, 컨테이터7, 자동차4, 양곡2, 철재1, 시멘트3/여객2, 돌핀7,모래7 | 철재18, 석탄1, 철광석1, 잡화1 | ||
건설 중 | 2 | - | 2 |
- | 잡화1, 액체1 | ||
계획 중 | 16 | 13 | 3 |
- | 철광석1, 철재2 |
※2011.7.25 국토해양부 평택항 기본게획(제 3차)에 의함
부두별 | 계 | 자동차 | 컨테 | 잡화 | 여객 | 양곡 | 시멘트 | 철재 | 모래 | 철광석 | 석탄 | 유류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평택 | 79 | 5 | 9 | 13 | 8 | 2 | 3 | 21 | 7 | 2 | 1 | 8 |
항계 | 53 | 5 | 9 | 11 | 8 | 2 | 3 | 1 | 7 | - | - | 7 |
당진 | 26 | - | - | 2 | - | - | - | 20 | - | 2 | 1 | 1 |
운송수단에 의해 항만과 연결되고 항만을 통해 화물의 도착 또는 선적하기 위해 개발된 육성구역으로 지역내 여러 활동 장소를 항만과 연계시키는 기능을 하는 지역(Functional Region)
구분 | 1 단계 | 2-1 단계 | 2-2 단계 |
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 1,429천㎡ | 1,050천㎡ | 3,081천㎡ |
사업비 | 868억원 | 1,576억원 | 미정 |
사업기간 | 2005년~2011년 | 2014년~2017년 | 2017년~2020년 |
<평택·당진항 현황도>
위치 |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항 준설토 투기장 일원 |
---|---|
규모 | 1,429천㎡(항만유보지 178천㎡ 제외) |
총 사업기간 | 2005년~2011년 |
총 사업비 | 868억원 |
사업시행자 | 경기평택항만공사(경기도) 52%, 여수광양항만공사 35%, 평택시 13% |
· 위 치 : 평택시현덕면 권관, 기산, 대안, 신왕리 일원
· 규 모 : 2,743,000㎡(약 83만평)
· 관광단지 지정 – 1977. 3. 31 : 관광지 지정(2,763,000㎡)
- 1979. 2. 13 : 조성계획 수립(118,099㎡)
- 1993. 7. 6 : 관광지 면적(축소)변경(676,000㎡)
- 2008. 12. 31 : 제4차 경기도권역 관광개발계획 변경 승인(문체부)
※ 관광지 → 관광단지로 변경
- 2009. 10. 7 : 관광단지 (확대)지정(현재 규모)
· 기 투자 : 42,832백만원(예술관, 한국소리터, 스튜디오, 고사분수, 경관시설 등)
- 2013. 11. 18 : 민간제안사업 접수(SK → 평택시)
- 2013. 11. 25 : 저경성조사 의뢰(평택시→ 공공투자관리센터)
- 2014. 7. 24 : “새 경제팀의 경제정책방향” 발표(기획재정부)
- 2015. 6. 17 : 제3자 제안공고(안) 자문의뢰 (시 → 공공투자관리센터)
- 2015. 10월 : 민간투자심의(기획재정부)
- 2015. 11월 : 제3자 제안공고
- 2016. 3월 : 우선협상대상자 지정
- 2016. 12월 : 사업시행자 지정
- 장기적 지속발전 모티브 제공(평택지역개발계획의 핵심사업으로 신성장 동력 제공)
- 도시공간구조 재정립(평택시 개발촉진 및 균형발전 기여)
- 생산유발효과 : 3조3천억원 – 부가가치유발효과 : 1조4천억원
- 관광단지 개발로 인한 평택시의 세수증대 효과 발생
- 재산세 : 총 670억원(연평균 20억원)
- 건설기간 포함 고용유발효과 : 약22,300명
- 개발완료 후 운영에 따른 일자리 창출 : 약11,800명 수준
위치 | 평택시 모공동, 지제동, 장당동 고덕면 일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
3,928,089㎡
|
||||||||
조성기간 | 2008.05~2015.12 | ||||||||
사업시행자 | 경기도시공사, 평택시 | ||||||||
유치업종 |
|
위치 | 평택시 진위면 가곡리, 갈곶리 일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
983,126㎡
|
||||||||
조성기간 | 2012.01~2017.12 | ||||||||
사업시행자 | 평택도시공사 | ||||||||
유치업종 |
|
위치 | 평택시 진위면 청호리 19-9번지 일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
126,105㎡
|
||||||||
조성기간 | 2011.04~2015.12 | ||||||||
사업시행자 | LG전자(주) | ||||||||
유치업종 |
|
위치 | 평택시 포승읍 만호리 2-1번지 일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
633,417㎡
|
||||||||
조성기간 | 2011.04~2015.12 | ||||||||
사업시행자 | 포승산단(주) | ||||||||
유치업종 |
|
위치 | 평택시 도일동 183번지 일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
4,824,912㎡
|
||||||||
조성기간 | 2009.08~2013.12 | ||||||||
사업시행자 | 브레인시티개발(주) | ||||||||
유치업종 |
|
위치 | 평택시 청북면 울북리 일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
1,348,074㎡
|
||||||||
조성기간 | 2010.04~2016 | ||||||||
사업시행자 | 율북신재생에이엠씨(주) | ||||||||
유치업종 |
|
위치 | 평택시 진위면 마산리 368번지 일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
826,370㎡
|
||||||||
조성기간 | 2010.05~2017.06 | ||||||||
사업시행자 | 케이디비유토플레스(주) | ||||||||
유치업종 |
|
위치 | 평택시 청북면 고렴리 845-1번지 일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
827,748㎡
|
||||||||
조성기간 | 2010.02~2014.12 | ||||||||
사업시행자 | 청북물류단지개발(주) | ||||||||
유치업종 |
|
위치 | 평택시 청북면 고렴리 148-50번지 일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성면적 |
282,190㎡
|
||||||||
조성기간 | 2011.05~2015.12 | ||||||||
사업시행자 | 남일문산, (주)창성, 동현전자(주) | ||||||||
유치업종 |
|